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소형 무선 임베디드 기기 주변장치 SW 분석 및 정보유출 방지기술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5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70,000,000원입니다.
국립한국해양대하ㄱ교에서 지원하는 신진교수 정착지원연구인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포렌식 및 취약점분석 연구"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5년 4월 1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20,000,000원입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디지털포렌식연구회에서 지원하는 "APK 분석방지 대응기술 연구 및 도구 개발"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5년 3월 2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55,000,000원입니다.
박채민 (3학년), 박주환 (3학년)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김도현 교수의 이직으로 DF&V 연구실이 국립한국해양대학교로 이동했습니다. 연구실의 모든 멤버도 같이 이동하며 연구실의 위치는 공학1관 325호 입니다.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이우진, 김종인 연구원이 각자 "DJI RC 분석 방지기술 해제 연구: SecNeo Protector를 중심으로", "MS Defender의 악성 시그니처를 악용하여 삭제된 파일 탐지 및 복구 방안: MS Defender의 아티팩트 분석을 중심으로", "안드로이드 딥페이크 제작앱에서의 불법 딥페이크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흔적 분석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우진 연구원은 우수논문상(경찰청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영남지부 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이우진, 김종인 연구원이 "드론 조종기에서의 미동의 데이터 유출 분석에 대한 연구", 정현덕 연구원이 "WiMA: 윈도우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메모리 포렌식 도구 개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김종인 연구원이 "불법 딥페이크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흔적 분석 연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딥페이크앱을 중심으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김도현 교수가 제79주년 경찰의 날에 부산경찰청으로부터 감사장을 수상했습니다.
홍요한 (3학년), 조문선 (3학년), 강태형 (3학년), 윤현수(3학년), 안준성 (2학년)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석사 졸업생인 이성원이 국가보안기술연구소 (NSR, 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에 취업했습니다.
국제 디지털 포렌식 학회인 DFRWS APAC 2024에 투고한 "Exploring the Potential of Large Language Models for Author Profiling Tasks in Digital Text Forensics" 논문이 Accept 되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2024년 10월 22~24일 Brisbane, Australia 에서 발표되며 SCIE 저널인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Digital Investigation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정현덕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디지털포렌식연구논문지에 "윈도우 OS 기반 은닉 악성코드 탐지를 위한 Volatility 3 plug-in 개발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정현덕, 이우진 연구원이 각자 "Process PRDS 메모리 포렌식에서 정상 프로세스 필터링을 통한 조사 대상 선별을 위한 연구", "Microsoft Defender를 활용한 파일 완전 삭제 안티포렌식 기법 및 대응 방안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우진 연구원은 우수논문상(경찰청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이우진, 김종인 연구원이 "DJI RC 동적 분석 환경 구축: 문제점과 해결책"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지원하는 "DT-03 장치의 앱기반 신호 운용체계 검증 도구 제작"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4년 6월 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47,700,000원입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김종인, 이우진 연구원이 "안드로이드 실행 파일 동적 분석 기술 동향", "안드로이드 APK Protector 기술 동향"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Bootice을 사용하여 생성된 은닉 영역 탐지 및 추출 방법", "FbinstTool을 사용하여 생성된 은닉 영역과 은닉 파일의 탐지 및 추출 방법" 특허 2건이 등록됐습니다. 발명자는 김도현, 홍표길 입니다.
우리 연구실 이정우 연구원이 한국정보보호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정보보호학회논문지에 "macOS 메모리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소형 무선 임베디드 기기 주변장치 실시간 운용정보 동적분석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4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60,000,000원입니다.
학부연구생이었던 김종인, 이우진 학생이 석사과정에 참여했습니다.
(주)데브스택에서 지원하는 "포렌식 기술 자문"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OpenStack 서버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포렌식 연구를 수행합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Themida3 가상화 난독화 복원 연구의 최신 동향과 한계점 및 해결 방향"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이정우, 이성원, 정현덕 연구원이 각자 "macOC 메모리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DJI 드론 조종기의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연구", "윈도우 은닉 악성코드 탐지를 위한 Volatility 3 plug-in 개발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성원 연구원은 우수논문상(해양경찰청장상), 정현덕 연구원은 우수논문상(저작권보호원장상)을 수상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이성원 연구원이 SCIE 저널인 Sensors에 "Digital Forensic Research for Analyzing Drone Pilot: Focusing on DJI Remote Controller"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이성원 연구원이 "넥슨 RPG Elancia 게임의 리소스 파일 분석 및 변조" 논문, 정현덕 연구원이 "메모리 포렌식을 위한 Volatility 도구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4학년인 김태형, 이우진, 김종인, 임진조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최신 운영체제 메모리 수집 및 분석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60,000,000원입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소형 무선 임베디드 기기 주변장치 연동 취약점 분석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2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60,000,000원입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지원하는 "HW-03 부트로더 보호 기능 및 권한 상승 안전성 검증 도구 제작"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3년 3월 2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53,000,000원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박사과정에 진학했고, 정현덕 연구원이 석사과정에 참여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암호연구회에서 지원하는 "가상화 난독화 적용 실행파일 분석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올해 2년차로 2023년 2월 28일부터 2023년 11월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70,000,000원입니다. 본 연구과제는 부산대학교 최윤호 교수님 연구실과 함께 진행합니다.
우리 연구실 이성원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디지털포렌식연구에 "NLP 기반의 메신저 포렌식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고민혁, 홍표길 연구원이 Scopus 저널인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JICCE)에 "Trends in Mobile Ransomware and Incident Response from a Digital Forensics Perspective"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Taint Analysis를 활용한 Themida3의 난독화된 API 복원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정보보호학회장상)을 수상했습니다.
김도현 교수가 남해지방해양경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에 위촉됐습니다. 위촉 기간 2022.11.10. ~ 2024.11.09.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정보보호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정보보호학회논문지에 "AppLock 정보 은닉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영남지부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이정우 연구원이 "리눅스 포렌식을 위한 메모리 수집 도구 분석"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이성원 연구원이 "메신저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조사을 위한 전처리와 통계 및 NLP 분석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안티포렌식 관점의 은닉된 Bootable USB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미주(4학년)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이성원 연구원이 "디지털 포렌식 조사를 위한 NLP의 텍스트 전처리 연구", 이정우 연구원이 "개인정보보호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정우 연구원은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리눅스 메모리 상주형 악성코드 비정상 행위 판단 및 증거 수집 방안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2년 5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60,000,000원입니다.
김정훈(4학년), 이준현(4학년), 김청운(3학년)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지원하는 "HW-03 부트로더 및 펌웨어 안전성 검증 도구 제작"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2년 4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42,500,000원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디지털포렌식연구에 "Bootice의 은닉 영역에 대한 안티포렌식 및 안티포렌식 대응에 대한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FbinstTool에 의해 생성된 은닉 영역과 은닉 파일의 탐지 및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Bootice에 의해 생성된 은닉 영역과 은닉 파일의 탐지 및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한국정보보호학회 암호연구회에서 지원하는 "가상화 난독화 적용 실행파일 분석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2년 2월 24일부터 2023년 11월까지 총 2년동안 지원되며 1차 연도 지원 금액은 65,000,000원입니다. 본 연구과제는 부산대학교 최윤호 교수님 연구실과 공동연구로 진행합니다.
정현덕 학생(영산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정현덕 학생은 2023년 1학기에 석사과정 진학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고민혁, 홍표길 연구원이 ICFICE 2022에 "Trends in Mobile Ransomware and Incident Response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Forensics" 논문을 발표하고 Excellent Paper Award을 수상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연구원들이(홍표길, 고민혁, 이정우, 이성원) 한국동서발전이 지원하는 부울경 화이트해커 양성사업의 프로젝트에 "은닉 영역 탐지를 위한 안티포렌식 대응 프로그램 개발"로 연구 결과를 출품하여 최우수상(상금 1,000,000원)을 수상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CISC-W'21)에 "모바일 정보 은닉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어 정보보호학회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모바일 정보 은닉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고민혁 연구원이 "모바일 랜섬웨어 앱 동향 및 침해사고 대응"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동계학술대회에 "Bootice의 은닉 영역에 대한 안티포렌식 및 안티포렌식 대응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이성원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이성원 학생은 2022년 1학기에 석사과정 진학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디지털포렌식연구에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에 대한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연구실 환경 개선을 위해 정보공학관 301호를 리모델링 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309호는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위한 서버들을 비치한 AI분석 전용 연구실로 전환하고 301호를 주 연구실로 사용합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WISA 2021에 "A Study on Author Profiling based on Text Mining for Effective Forensic Investigation" 논문 포스터를 투고하여 Best Poster를 수상했습니다.
이정우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이정우 학생은 2022년 1학기에 석사과정 진학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에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에 대한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경찰청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지원하는 "차세대 안드로이드 모바일 포렌식 2.0을 위한 고도화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6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총 3년동안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총 131,559,000원입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 분석 연구", 고민혁 연구원이 "양자키 분배의 개념과 과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지원하는 "모바일 암호앱의 암호 알고리즘 안전성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50,000,000원입니다.
연구 내용은 암호화 기능을 포함하는 앱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 구축(정적 분석, 동적 분석), 암호화 기능이 포함된 악성앱인 랜섬웨어와 개인정보보호앱을 분석하여 데이터 복호화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고 랜섬웨어의 경우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복호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디지털포렌식연구회에서 지원하는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모바일 메신저 데이터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3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45,000,000원입니다.
김도현 교수가 디지털 포렌식과 취약점 분석을 주로 연구하는 DF&V 연구실을 창설했습니다. 연구실 첫 멤버로 석사 1학기에 진학한 홍표길, 고민혁 연구원이 참여했습니다. 연구실의 위치는 정보공학관 309호 입니다.